에이비엘바이오 GSK 기술이전 4조 돌파! 주가전망부터 BBB 플랫폼까지 완전 해부
알테오젠을 넘어설 다크호스 등장? 투자자들이 주목해야 할 이유는 따로 있다!
갑작스럽게 뉴스 알림창에 딱!
"에이비엘바이오, GSK와 4조 기술이전 계약 체결"
이런 제목 보시고 깜짝 놀라신 분들 많으셨쥬?
순식간에 상한가 직행, 차트가 불타올랐던 그날...
‘이거 진짜인가?’ 싶었죠.
근데 말입니다... 이건 단순한 ‘단타’ 종목 얘기가 아니에요.
그 뒤에 숨겨진 기술력, 플랫폼 가치, 그리고 미래의 확장성까지
이걸 알고 보면 에이비엘바이오, 그냥 스쳐 지나가면 후회할 수도 있어요...🙈
최근 바이오 업계의 흐름을 보면
알테오젠, 리가켐바이오와 함께 3대장으로 평가받던 에이비엘바이오가
드디어 그 진짜 실력을 세상에 보여준 느낌이랄까요?
이번 글에서는 이슈가 된 임상 데이터,
그리고 증권가가 입을 모아 말하는 그랩바디-B 플랫폼의 의미,
무려 4조 원 계약이라는 숫자가 가지는 실제 가치를
알아듣기 쉽게! 현실감 있게!
쏙쏙 풀어보려고 합니다! 🧠💊
“에이비엘 주식, 이제라도 들어가도 되나?” 궁금하셨다면 집중해서 읽어주셔요~
1. 에이비엘바이오가 보여준 '이중항체' 기술의 진짜 무기력
바이오 주식이라면 흔히 ‘파이프라인 몇 개 있냐’, ‘임상 어디까지 갔냐’
이런 얘기들 많이 하쥬. 근데 에이비엘바이오는 좀 달라요.
단순히 약 개발하는 회사가 아니라,
기술 플랫폼 자체를 만들어내는 회사라는 게 포인트죠!
이중항체 기술이란 말이 좀 어려울 수 있는데,
쉽게 말해 한 번에 암세포도 잡고, 면역세포도 불러들이는
‘멀티 기능 항체’라고 보면 돼요.
에이비엘바이오는 이걸 완전히 자기 식으로 만들 수 있는 능력을
벌써 몇 년째 다듬어온 거고요,
이 기술력 덕분에 글로벌 파트너들과 딜이 성사되고 있는 거예요!
2. ABL001 미국 임상, 기대엔 못 미쳤지만...
자, 근데 약간 찬물을 끼얹는 뉴스도 있었죠ㅠ
바로 ABL001의 미국 임상 2·3상 결과
객관적 반응률(ORR)이 17.1%로 발표되면서
국내 임상 때보다는 수치가 좀 낮았어요.
그래서 "이거 실패 아닌가?" 하는 시각도 생겼죠.
하지만 반대로 단독요법 ORR이 5.3%에 불과했단 점에서
“그래도 효과는 명확하다”는 평가도 나옵니다.
더군다나 미국에선 111명 대상, 국내는 24명 대상…
표본 차이도 꽤 컸고요.
후속 데이터(DoR, mPFS 등) 발표까지 기다려보자는 의견이 많아요!
3. GSK와 체결한 4조 기술이전 계약, 어디가 대단한 걸까?
이번 계약의 핵심은 바로 '그랩바디-B' 플랫폼.
단일 신약이 아니라 기술 전체,
즉 이걸 기반으로 수십 개의 약이 파생 가능한 구조라는 거예요!
이게 진짜 무서운 점이쥬.
게다가 계약 규모도 역대급이죠.
총 4조1천억 원 규모, 계약금 + 마일스톤으로
일단 1,500억 원 현금 확보!
앞으로 GSK가 관련 약물을 상업화하면 로열티까지 챙깁니다.
이건 단순한 수익이 아니라
에이비엘바이오의 기술이 세계적으로 인정받았다는 증거입니다요🔥
4. BBB 셔틀? 그게 왜 그렇게 대단한가요?
뇌는 외부에서 약이 쉽게 들어갈 수 없는 구조로 되어 있어요.
이걸 뇌혈관장벽(BBB)라고 하는데,
기존 치료제 대부분은 이 장벽을 넘지 못해 뇌질환 치료가 어려웠어요.
그런데 에이비엘바이오의 그랩바디-B 플랫폼은
IGF1R 수용체를 활용해 약물을 뇌로 '셔틀'처럼 데려다주는 기술!
여기서 IGF1R 기반이라는 점이 중요해요.
글로벌 제약사 대부분은 TfR 기반 기술을 사용하는데,
에이비엘은 완전히 다른 구조라서 차별성 + 특허 경쟁력이 탁월하쥬.
5. 이미 사노피도 손 잡았다? 그럼 끝난 게임 아닌가요…
놀라지 마세요.
GSK보다 먼저 사노피와도 2022년 계약을 체결했었어요!
ABL301이라는 파킨슨병 치료제에 대한 공동개발 및 기술이전 계약으로
무려 10억6000만달러 규모
그리고 작년엔 제조 기술도 사노피에 넘겼고,
현재는 미국에서 에이비엘바이오 주도로 임상 1상 진행 중
올해 중순쯤 결과가 나올 예정이라고 하니
또 한 번의 변곡점이 될 가능성도 크겠쥬?
6. 로슈, BMS, 애브비도 BBB 기술 투자 중
사실 BBB 셔틀 기술은 글로벌 제약사들이 다들 노리는 영역이에요.
로슈는 '브레인셔틀'이라는 플랫폼으로
알츠하이머 치료제 트론티네맙을 개발 중이고,
이미 임상 3상까지 계획 중이라는 발표도 있었죠.
BMS, 애브비, 일라이릴리도 관련 기술을 이전받아 연구 중인데요,
에이비엘바이오의 그랩바디-B가 최초로 플랫폼 기술이전 성사된 사례라는 게 핵심 포인트!
이쯤 되면... 진짜 '제2의 알테오젠'이 아니라
제1의 에이비엘바이오라고 불러야 하지 않을까요?😎
STEP 3
궁금했던 거, 이제 제대로 정리해보자쥬?
🔸 그랩바디-B 기술, 앞으로 얼마나 확장될 수 있을까요?
👉 타깃이 되는 질환이 '퇴행성 뇌질환'에 국한되지 않아요. IGF1R 기반의 플랫폼이라 알츠하이머, 파킨슨병, 희귀 신경계 질환 등 수많은 파이프라인에 응용 가능! GSK가 개발 중인 약물 외에도 다수의 파트너사와 추가 계약 가능성도 높쥬~
🔸 이번 계약이 주가에 얼마나 영향을 줄까요?
👉 단기적으로는 급등 후 숨 고르기 중이지만, 중장기적으로 보면 IR 발표 + ABL301 임상결과 + 후속 마일스톤 수령 등 수많은 '떡밥'이 대기 중입니다. 지금은 말 그대로 ‘초입’ 단계일 수도 있어요!
🔸 플랫폼 기술이전, 이게 왜 대단한가요?
👉 하나의 약물이 아니라 ‘약을 만드는 방식’ 자체를 넘긴 거예요. 그리고 이걸 받아간 회사가 글로벌 톱 제약사인 GSK라는 게 포인트! 기술 인정 → 시장 신뢰 → 장기 파트너십 가능성까지 완전 종합세트😎
시선이 바뀌면, 기업의 얼굴도 달라 보인다
에이비엘바이오의 주가는 하루 만에 상한가를 찍기도 했지만
진짜 중요한 건 '이 회사가 앞으로 어디까지 갈 수 있느냐'겠쥬?
사실 ABL001의 임상 수치만 보면 “이거 좀 애매한데…” 싶을 수도 있었어요.
근데 그걸 딛고 플랫폼 기술을 무기로 삼아
세계 제약사들을 대상으로 빅딜을 터뜨린 모습은
어느 각도에서 봐도 ‘작은 회사의 반란’이라 할 만합니다.
이제 투자자 입장에서는 ‘현재 주가’보다는
다음 발표, 다음 임상, 다음 기술이전이 뭘까?
이걸 먼저 봐야 하지 않을까요?
그랩바디-B는 아직 ‘확장 전’입니다.
앞으로 어디까지 커질 수 있을지, 이제부터 진짜 구경거리예요🎬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이번 에이비엘바이오 이슈,
어떻게 보셨는지 너무 궁금해요!
플랫폼 기술의 확장 가능성, 주가 흐름, 임상 데이터에 대한 의견,
혹은 “이런 건 좀 아쉽다” 싶은 포인트까지도
편하게 댓글로 남겨주셔요~
같이 얘기 나누면서 진짜 인사이트를 찾아보는 거,
이게 진짜 투자 공부 아니겠쥬? 📈😊
댓글